핵심 요약
- 성주교육지원청, '독도의 날' 맞아 독도 수호 결의대회 개최
- 영남대 독도연구소, 일본 독도 교육 왜곡 대응 학술대회 개최
- 신협, '국가유산 어부바 적금' 통해 독도 보호 지원 확대
- 독도 교육 내실화 및 연구와 교육 협력 네트워크 구축 기대
- 신협 적금, 누적 가입금액 530억 돌파하며 독도 주민 지원 기여
독도 수호 및 교육 강화 움직임 활발
성주교육지원청은 10월 25일 '독도의 날'을 기념하여 전 직원이 참여하는 '독도 수호 결의대회'를 개최했다고 10월 22일 밝혔습니다. 이 자리에서 '독도는 대한민국 땅, 우리가 지킨다' 등의 구호를 외치며 독도 수호 의지를 다졌습니다. 또한, 지역 학생, 학부모, 주민을 대상으로 '독도 체험 부스'를 운영하며 독도의 역사적, 자연적 가치를 알리고 나라 사랑하는 마음을 고취하는 기회를 마련했습니다. 김시용 교육장은 앞으로도 다양한 행사를 통해 독도 지키기에 앞장서고, 학생들이 독도에 대한 인식을 높이도록 지원하겠다고 강조했습니다.
일본 독도 교육 왜곡에 대한 학술적 대응
영남대학교 독도연구소는 경상북도와 협력하여 10월 24일 '학교급별 독도교육의 내실화 방안'을 주제로 학술대회를 개최한다고 10월 22일 전했습니다. 이번 학술대회는 일본의 강화되는 독도 왜곡 교육에 대응하고자 국내 학교 현장의 독도 교육 실태를 점검하고 실질적인 개선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되었습니다. 일본의 '다케시마=독도문제연구넷' 박병섭 대표의 기조강연을 시작으로, 초·중·고등학교 현장의 독도 교육 사례 공유 및 실효성 있는 교육 방향에 대한 심도 있는 논의가 이루어질 예정입니다.
신협, 금융 상품으로 독도 보호 지원 확대
신협중앙회는 광복 80주년을 기념하여 출시한 '국가유산 어부바 적금'이 출시 2개월 만에 누적 가입금액 530억 원을 돌파했다고 10월 22일 밝혔습니다. 이 적금은 대한민국 영토 주권의 상징인 독도 보호를 지원하는 기부형 금융상품으로, 가입 금액의 1%를 신협사회공헌재단이 독도 주민을 위한 생활·문화 공간 조성 및 생태계 보호 활동에 기부합니다. 2020년부터 국가유산청과 협력해온 신협은 '국가유산 어부바 적금'과 '국가유산 독도사랑적금'을 통해 현재까지 총 1602억 원을 조성하며 국내 대표 헤리티지 금융상품으로 자리매김했습니다.
체크리스트
- 독도 수호 의지를 다지는 결의대회 참여 및 지지 방법을 알아봅니다.
- 일본의 독도 교육 왜곡에 대한 대응 방안에 관심을 가집니다.
- 신협의 '국가유산 어부바 적금' 상품을 통해 독도 보호에 기여하는 방법을 알아봅니다.
- 자녀 또는 주변 사람들에게 독도의 중요성과 역사에 대해 교육할 기회를 마련합니다.
- 독도 관련 뉴스와 정보를 꾸준히 접하며 우리 영토에 대한 관심을 유지합니다.
참고/출처
- 경북일보(https://www.dkilbo.com/news/articleView.html?idxno=518672) — 2025-10-22 — 성주교육지원청, ‘독도 수호 결의대회’ 실시
- 뉴스프리존(https://www.newsfreezone.co.kr/news/articleView.html?idxno=653165) — 2025-10-22 — 영남대 독도연구소, 일본의 학교급별 독도교육 내실화 방안 논의
- 포인테뉴스(https://www.pointe.co.kr/news/articleView.html?idxno=59207) — 2025-10-22 — 신협, 국가유산 어부바 적금 2개월 만에 530억 돌파 성과
- 팝콘뉴스(http://www.popcornnews.net/news/articleView.html?idxno=98316) — 2025-10-22 — 신협, 광복 80주년 기념 ‘국가유산 어부바 적금’ 530억 원 돌파
- 베리타스알파(http://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577763) — 2025-10-22 — 영남대 독도연구소, 독도 교육 내실화 방안 모색 학술대회 개최
- 대한뉴스(https://dhnews.co.kr/news/view/1065577472726057) — 2025-10-22 — 영남대 독도연구소, ‘독도교육 내실화 방안’ 학술대회 개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