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요약
- LH, 2,643호 규모 매입임대주택 3차 청약 접수 시작
- 청년, 신혼부부, 신생아 가구, 중산층·서민층 대상
- 시세 대비 저렴한 임대료로 장기 거주 가능
- 청약 신청은 LH청약플러스 통해 9월 24일까지
- 12월 예비입주자 발표 예정
이슈 개요와 배경
최근 주택 시장 불안정 속에서 실수요자들의 내 집 마련 부담이 커지고 있습니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이러한 상황에 맞춰 도심 내 편리한 주거 환경을 갖춘 매입임대주택 공급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이번 3차 공급은 특히 청년, 신혼부부, 신생아 가구 등 주거 취약 계층을 위한 맞춤형 주택으로,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제공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습니다. 이는 정부의 주거 복지 정책의 일환으로, 주택 시장 안정화와 서민 주거 안정을 도모하려는 노력의 결과입니다.
LH청약플러스, 2643호 매입임대주택 3차 공급 개시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2025년 9월 22일부터 2,643호 규모의 3차 매입임대주택 청약 접수를 시작했습니다. 이번 공급은 무주택 청년, 신혼부부, 신생아 가구 및 중산층·서민층을 대상으로 하며, LH가 도심 내 교통이 편리한 신축 및 기존 주택을 매입하여 시세보다 저렴하게 임대하는 방식입니다. (출처: 메트로신문, 2025년 9월 22일)
청년·신혼부부 맞춤형 공급 내용
공급 물량은 청년 매입임대주택 1,232호와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 1,411호로 구성됩니다. 청년 매입임대주택은 19세에서 39세 청년, 대학생, 취업준비생을 대상으로 하며, 임대료는 시세의 40~50% 수준으로 최대 10년(입주 후 혼인 시 20년)까지 거주 가능합니다. (출처: 연합뉴스, 2025년 9월 22일)
신혼·신생아 유형별 거주 조건 및 임대료
신혼·신생아 매입임대주택은 결혼 7년 이내 신혼부부 및 신생아 가구를 대상으로 합니다. 소득·자산 기준에 따라 시세의 3040% 수준으로 최장 20년 거주 가능한 신혼·신생아Ⅰ 유형과 시세의 7080% 수준의 준전세형으로 최장 10~14년 거주 가능한 신혼·신생아Ⅱ 유형으로 나뉩니다. (출처: 한국경제, 2025년 9월 22일)
체크리스트
- 본인의 자격 요건(나이, 혼인 여부, 소득, 자산 등)을 정확히 확인하세요.
- LH청약플러스 웹사이트에서 공고문을 상세히 읽어보세요.
- 필요한 서류(주민등록등본, 가족관계증명서 등)를 미리 준비하세요.
- 청약 신청 마감일(9월 24일)을 놓치지 않도록 주의하세요.
- 서류심사 대상자로 선정될 경우, 안내에 따라 추가 서류를 제출하세요.
참고/출처
- 메트로신문(http://www.metroseoul.co.kr/article/20250922500067) — 2025-09-22 — LH, 청년·신혼 등 매입임대주택 2600호 청약 접수
- 연합뉴스(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654/0000143073?sid=101) — 2025-09-22 — LH, 무주택 청년·신혼부부 대상 매입임대 2643가구 3차 청약 시작
- 한국경제(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4535839?sid=101) — 2025-09-22 — LH, 청년·신혼부부 대상 매입임대 2600가구 접수 개시
- 스트레이트뉴스(https://www.straight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282059) — 2025-09-22 — LH, 청년·신혼 등 매입임대주택 2600호 청약 접수 시작
- 더페어뉴스(https://www.thefair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56572) — 2025-09-22 — LH, 청년·신혼부부 매입임대주택 2,600여 호 공급…청약 접수 시작
- 이코리아(https://www.ekoreanews.co.kr/news/articleView.html?idxno=82269) — 2025-09-22 — LH, 청년·신혼 등 매입임대주택 2천6백 호 청약 접수 시작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