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요약
- 셀트리온, 미국 뉴저지 일라이 릴리 생산 공장 인수 본계약 체결
- 인수 규모 4600억원, 총 1조 4000억원 이상 투자 전망
- 미국 내 관세 리스크 해소 및 현지 생산·판매 일원화 목표
- 기존 시설 활용으로 신규 공장 대비 시간·비용 절감 효과
- 일라이 릴리와 CMO 계약 체결, 매출 확대 및 투자금 조기 회수 기대
이슈 개요와 배경
미국 정부의 보호무역주의 강화와 함께 국내 제약·바이오 기업들의 현지 생산 거점 확보 중요성이 커지고 있습니다. 특히 관세 부과 가능성은 수출 경쟁력에 직접적인 타격을 줄 수 있어, 기업들은 이를 회피하고 안정적인 공급망을 구축하기 위한 전략 마련에 고심하고 있습니다. 셀트리온의 이번 미국 공장 인수는 이러한 글로벌 환경 변화에 대한 선제적 대응으로 풀이됩니다.
셀트리온, 미국 생산 거점 확보로 관세 리스크 해소
셀트리온은 2025년 9월 23일, 글로벌 제약사 일라이 릴리의 미국 뉴저지주 브랜치버그 생산 공장 인수 본계약을 체결했다고 밝혔습니다. 이번 계약은 약 4600억원 규모이며, 셀트리온은 초기 운영비를 포함해 총 7000억원을 투자할 계획입니다. 또한, 공장 내 유휴 부지에 생산 시설 증설을 추진하며 최소 7000억원 이상의 추가 투자를 단행할 예정입니다. 이는 2025년 9월 23일자 여러 언론 보도를 통해 확인된 사실입니다.
현지 생산·판매 일원화로 경쟁력 강화
이번 인수는 셀트리온이 지난 5월 서정진 회장이 제시한 관세 대응 종합 플랜의 핵심입니다. 미국 내 관세 리스크를 근본적으로 해소하고, 현지 생산 및 판매를 일원화한 공급망을 구축하는 데 목적이 있습니다. 이미 가동 중인 바이오 원료의약품 생산 시설을 인수함으로써 신규 공장 건설 대비 시간과 비용을 대폭 절감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는 2025년 9월 23일자 보도에서 강조된 내용입니다.
국내 독자 관점에서의 의미와 향후 전망
셀트리온의 미국 공장 인수는 국내 제약·바이오 산업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긍정적인 신호탄이 될 수 있습니다. 현지 생산 거점 확보는 물론, 일라이 릴리와의 CMO 계약을 통해 안정적인 매출처를 확보하고 투자금 회수를 앞당길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서정진 셀트리온 회장은 2025년 9월 23일 온라인 간담회에서 "관세는 이제 상수이므로 방어가 아닌 선제적 투자가 필요하다"고 강조하며, 2026년 말부터 자가 제품 생산과 함께 릴리 제품의 CMO 생산을 진행할 예정임을 밝혔습니다.
데이터로 보는 포인트
| 지표 | 현재 | 비교치 | 메모 |
|---|---|---|---|
| 인수 계약 규모 | 약 4600억원 | - | 일라이 릴리 미국 생산 공장 인수 |
| 초기 투자 계획 | 총 7000억원 | - | 인수 대금 포함 |
| 추가 투자 전망 | 최소 7000억원 이상 | - | 생산 시설 증설 포함 |
| 총 투자 예상 규모 | 1조 4000억원 이상 | - | 인수 및 증설 포함 |
| 인수 주체 | 셀트리온 미국법인 | - | 연말까지 인수 절차 완료 목표 |
참고/출처
- 연합뉴스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01/0015012870?sid=101) — 2025-09-23 — 셀트리온, 릴리 미국 생산공장 인수…1.4조 투입
- 한국경제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5092379071) — 2025-09-23 — 셀트리온, 4600억 들여 릴리 美공장 인수…관세폭탄 피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