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 요약
- 일동제약, 경구용 신약 후보물질 'ID110521156' 임상 1상 톱라인 데이터 공개
- 200mg 투여군에서 최대 13.8%의 체중 감소 효과 확인, 용량 의존적 유효성 입증
- 5% 이상 체중 감소 피험자 비율, 위약군 대비 유의미하게 높음
- 혈당 강하 효과 및 안전성 확인, 위장관 부작용 경미
- 내년 글로벌 임상 2상 진입 목표, 상업화 경쟁력 기대
이슈 개요와 배경
최근 비만 및 대사성 질환 치료제 시장이 급성장하면서, 기존 주사제 방식의 한계를 극복할 먹는 치료제 개발에 대한 관심이 뜨겁습니다. 이러한 가운데 일동제약이 GLP-1 수용체 작용제 계열의 경구용 신약 후보물질 'ID110521156'의 임상 1상 결과를 발표하며 주목받고 있습니다. 이는 국내 제약사의 비만 치료제 개발 경쟁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것으로 보입니다.
일동제약, 먹는 비만약 후보물질 임상 1상 결과 발표
일동제약그룹은 2025년 9월 29일 기업설명회(IR)를 통해 비만 및 당뇨 등 대사성 질환 치료를 목표로 하는 경구용 신약 후보물질 'ID110521156'의 임상 1상 톱라인 데이터를 공개했습니다. 이 후보물질은 GLP-1 수용체 작용제(GLP-1 RA) 계열로, 인슐린 분비 촉진, 혈당 감소, 식욕 억제 등의 작용을 합니다. 임상 1상은 건강한 성인 36명을 대상으로 4주간 진행되었으며, 50mg, 100mg, 200mg 세 가지 용량으로 투여되었습니다. (출처: 2025년 9월 29일자 라포르시안 보도)
ID110521156, 체중 감량 및 혈당 강하 효과 확인
임상 결과, 200mg 투여군에서 평균 9.9%, 최대 13.8%의 체중 감소 효과가 나타났으며, 이는 용량 의존적인 유효성을 입증했습니다. 5% 이상 체중 감소를 보인 피험자 비율은 위약군 0% 대비 50mg 투여군 55.6%, 100mg 투여군 66.7%, 200mg 투여군 87.5%로 나타나 임상적으로 유의미한 결과를 보였습니다. 경구 포도당 부하 검사(OGTT)와 연속 혈당 모니터링(CGM)을 통해서도 용량 의존적인 혈당 강하 효과가 확인되었다고 2025년 9월 29일자 메디칼타임즈는 전했습니다.
향후 계획과 상업화 전망
일동제약그룹은 'ID110521156'이 기존 주사제 대비 약리적 특성, 제조 효율, 경제성, 사용 편의성 등에서 차별성을 가지며 상업화에 유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습니다. 내년 글로벌 임상 2상 진입을 목표로 개발을 본격화할 계획이며, 글로벌 라이선스 아웃 등 상용화 파트너링 활동도 병행할 예정이라고 2025년 9월 29일자 데일리메디는 보도했습니다. 이재준 일동제약 COO 겸 유노비아 대표는 이를 통해 'ID110521156'이 비만·당뇨 분야에서 '베스트 인 클래스' 신약으로 발전할 잠재력이 있다고 평가했습니다.
데이터로 보는 포인트
| 지표 | 50mg 투여군 | 100mg 투여군 | 200mg 투여군 | 위약군 |
|---|---|---|---|---|
| 평균 체중 감소율 | - | - | 9.9% | - |
| 최대 체중 감소율 | - | - | 13.8% | - |
| 5% 이상 체중 감소 피험자 비율 | 55.6% | 66.7% | 87.5% | 0% |
위 수치는 2025년 9월 29일 발표된 일동제약의 임상 1상 톱라인 데이터를 기반으로 합니다. (출처: 2025년 9월 29일자 라포르시안 보도)
자주 묻는 질문(FAQ)
Q1. 일동제약의 먹는 비만약 후보물질은 어떤 기전으로 작용하나요? A1. 일동제약의 'ID110521156'은 GLP-1 수용체 작용제(GLP-1 RA) 계열입니다. 이는 체내 GLP-1 호르몬과 유사하게 작용하여 인슐린 합성 및 분비를 촉진하고, 혈당을 낮추며, 위장관 운동을 조절하고 식욕을 억제하는 효과를 나타냅니다.
Q2. 임상 1상에서 확인된 주요 효과는 무엇인가요? A2. 임상 1상 결과, 200mg 투여군에서 최대 13.8%의 체중 감소 효과가 확인되었습니다. 또한, 5% 이상 체중 감소를 보인 피험자 비율이 위약군 대비 유의미하게 높았으며, 혈당 강하 효과도 용량 의존적으로 나타났습니다.
Q3. 임상 1상에서 안전성 문제는 없었나요? A3. 임상 1상 결과, 위장관 관련 부작용이 경미한 수준으로만 보고되었으며, 중대한 이상 사례나 약물 중단 사례는 없었습니다. 간 효소 수치 또한 정상 범위 내에서 유지되어 약물 유발 간 손상 우려는 없었다고 2025년 9월 29일자 메디칼타임즈는 보도했습니다.
참고/출처
- 라포르시안(https://www.rapportian.com/news/articleView.html?idxno=226901) — 2025-09-29 — 일동제약, 먹는 비만약 임상 1상서 4주 최대 13.8% 감량
- 메디칼타임즈(https://www.medicaltimes.com/Main/News/NewsView.html?ID=1165439&ref=naverpc) — 2025-09-29 — 일동제약그룹, GLP-1RA 신약 물질 임상 1상 톱라인 공개
- 데일리메디(https://www.dailymedi.com/news/news_view.php?wr_id=929456) — 2025-09-29 — 일동제약 먹는 비만약, 4주 최대 13.8% 감량 확인
